유니 코드

[BOJ/백준][Silver3] 1003: 피보나치 함수(Kotlin) 본문

알고리즘/다이나믹프로그래밍

[BOJ/백준][Silver3] 1003: 피보나치 함수(Kotlin)

꼬물쥰 2022. 7. 4. 22:46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0)은 0을 출력하고, 0을 리턴한다.
  • fibonacci(2)는 fibonacci(1)과 fibonacci(0)의 결과를 얻고, 1을 리턴한다.
  • 첫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의 결과를 얻고, 2를 리턴한다.

1은 2번 출력되고, 0은 1번 출력된다. N이 주어졌을 때, fibonacci(N)을 호출했을 때, 0과 1이 각각 몇 번 출력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출력

입력 :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N은 4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0이 출력되는 횟수와 1이 출력되는 횟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입력 출력
3
0
1
3
1 0
0 1
1 2
2
6
22
5 8
10946 17711

접근방법

피보나치 문제는 전에 풀었지만 살짝 문제가 다른 것 같아서 도전해봤다

이 문제는 문제에 피보나치를 구하는 함수가 주어지고 구해야하는 건 0과 1 각각 출력횟수이다

우선 n이 0이면 0과 1이 각각 1번, 0번 출력되고, n이 1이면 0번, 1번 출력된다

이 값들을 가지고 문제를 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n이 5라고 가정하자. 5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4번째와 3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해서 더하면 된다

그럼 5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면서 출력되는 0과 1의 수는

4번째와 3번째의 피보나치 수를 구하면서 출력되는 0과 1의 수의 합과 같은 것이다

표를 통해 알아보자

  0 1 2 3 4 5
0의 수  1 0 1 + 0 = 1 0 + 1 = 1 1 + 1 = 2 1 + 2 = 3
1의 수 0 1 0 + 1 = 1 1 + 1 = 2 1 + 2 = 3 2 + 3 = 5

우리는 0과 1의 수를 저장해야하므로 이번에는 값을 저장할 배열을 이중배열로 만들었다

0의 수를 구하는 식은 dp[n][0] = dp[n - 1][0] + dp[n - 2][0] 이고 1의수를 구하는 식 또한 이와 같다


코드

import java.util.*

fun main(){
    val sc: Scanner = Scanner(System.`in`)
    val T = sc.nextInt()
    
    var dp = Array(41){IntArray(2){0}}
    dp[0][0] = 1
    dp[1][1] = 1
    
    for(i in 1..T){
        var n = sc.nextInt()
        
        for(j in 2..n){
            dp[j][0] = dp[j - 1][0] + dp[j - 2][0]
            dp[j][1] = dp[j - 1][1] + dp[j - 2][1] 
        }
        println("${dp[n][0]} ${dp[n][1]}")
    }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