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뷰클래스
- Top-Down
- LIS
- RETROFIT
- bronze3
- dp
- silver3
- RecyclerView
- 다크모드제한
- LV1
- 백준
- stack
- Android
- Alert Dialog
- naver open api
- Kotlin
- fragment에서 context사용
- recyclerView 클릭이벤트
- map
- toLong()
- bronze2
- bronze4
- gradle설정
- silver4
- 녹음기
- bottom-up
- 임시저장하기
- 프로그래머스
- Silver5
- 테마변경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오늘의 공부는?!/알고리즘 (1)
유니 코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DP는 복잡한 문제를 간단한 여러 개의 문제로 나누어 푸는 방법을 말한다. 코딩 테스트 빈출 유형 중 하나이다. DP란?! 간단한 여러 개의 문제로 전체 문제를 나누어 푸는 방법을 말한다. (작은 문제의 답을 구한 후 어딘가에 메모해 놓고, 그보다 큰 문제를 풀어나갈 때 똑같은 작은 문제를 구해야한다면 앞서 메모한 결과값을 이용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피보나치 수 구하기이다. 50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해야 한다고 가정하자. P(50) = P(49) + P(48)이기 때문에 50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대신에 49번째, 48번째 수를 구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작은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 이를 통해 더 큰 문제의 답을 구하는..
오늘의 공부는?!/알고리즘
2022. 7. 3. 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