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녹음기
- 백준
- toLong()
- naver open api
- silver3
- Silver5
- Android
- silver4
- dp
- 임시저장하기
- LIS
- bottom-up
- bronze3
- fragment에서 context사용
- map
- RecyclerView
- Top-Down
- recyclerView 클릭이벤트
- bronze4
- 테마변경
- 다크모드제한
- gradle설정
- bronze2
- LV1
- stack
- RETROFIT
- Alert Dialog
- 뷰클래스
- 프로그래머스
- Kotlin
Archives
- Today
- Total
유니 코드
[Git] git stash - 작업 임시 저장하기 본문
git을 이용해 협업을 하다보면 하던 작업을 멈추고 잠시 브랜치를 변경해야할 일이 가끔 있다.
아직 작업중인 파일들을 그대로 두고 브랜치를 변경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아직 변경사항이 남아있으니
체크아웃하면 덮어쓰게 된다는 창이 뜬다
이때 아직 미완성인 작업을 commit하는 것은 찜찜한데,, 이럴때 사용하는 git 명령어가 바로 git stash이다
git stash?!
아직 마무리하지 않은 작업을 스택에 잠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이를 통해 아직 완료하지 않은 작업을 commit하지 않고 나중에 다시 꺼내와 마무리할 수 있다
- git stash를 사용하면 워킹 디렉토리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한다
- stash는 아래의 파일들을 임시 보관해두는 장소이다
stash 명령어
git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작업하던 파일들이 stash에 저장되고 local 프로젝트 목록에서는 사라지게 된다
git stash list 를 사용하여 저장한 stash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임시저장해둔 파일을 다시 가져올 수 있다.
git stash와 git stash apply만 알고있어도 임시저장 할 수 있다
'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Organization 커스텀하기(README 추가, 프로필 변경) (0) | 2023.02.23 |
---|---|
[git] refusing to allow a Personal Access Token to create or update workflow ~ without `workflow` scope 에러해결 (0) | 2023.01.25 |
[끄적끄적] 매개변수와 인수 (0) | 2022.11.16 |
[GitHub] 나의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0) | 2022.02.17 |
Comments